시리고 아픈 이, 어떻게 설명할까?

치과 주치의

시리고 아픈 이,

어떻게 설명할까?

치과를 찾은 환자는 대부분 “시리다” 혹은 “아프다”는 말로 본인의 증상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치아가 시리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도 발생 원인이 다양하기에 정확한 치료를 위해서는
올바른 문진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증상 표현이 중요하다.

치과보존과 이진규 교수

전문진료분야

근관(신경)치료, 치아외상, 레진수복, 미세현미경 수술

치과 주치의

시리고 아픈 이,

어떻게 설명할까?

치과를 찾은 환자는 대부분 “시리다” 혹은 “아프다”는 말로 본인의 증상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치아가 시리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도 발생 원인이 다양하기에 정확한 치료를 위해서는 올바른 문진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증상 표현이 중요하다.

치과보존과 이진규 교수

전문진료분야

근관(신경)치료, 치아외상, 레진수복, 미세현미경 수술

치료 시, 의사가 환자와 함께 확인해야 할 부분

치과에 내원한 환자는 아픈 증상을 정확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단순히 "시리고 아프다' 라고 증상을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치아 및 치아 주변 조직에서 느끼나 통증이나 불편함은 감각 신경이 통증 관련 자극을 대뇌에 전달함으로써 느끼게 된다. 총 12쌍의 뇌신경 가운데 다섯 번째에 해당하는 신경인 삼차신경이 치아를 포함하는 안면 전체에 분포한다. 삼차신경은 안면의 감각과 씹는 운동 등에 관여한다. 치아 및 치아 주변 조직에 분포하는 신경 역시 삼차신경에서 분지되어 나온 것이며 유해 자극을 감지하고 통증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치아 내부에는 혈관과 함께 신경이 분포하고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인식하고 반응한다. 그림 2는 치아 및 치아지지조직에 분포하고 있는 신경섬유를 보여주고 있다. 치아에 분포하는 신경은 크게 A와 C 섬유로 분류할 수 있으며 분포하는 부위, 인식하는 자극과 감각에는 차이가 있다. 치아지지조직에도 신경의 말단부와 기계적 감각 수용기가 분포하고 있다.

통증이 기원 및 원인 감별

사람들이 치아 및 치아 주위 조직에서 느끼는 통증이나 불편함은 단순하게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시리다’ 또는 ‘아프다’와 같이 표현해도 원인이 다른 경우가 많아 반드시 통증의 원인 파악이 필요하다. 치아 및 치아지지조직에서 느끼는 통증과 불편감은 분포하는 신경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며 그 치료 방법도 달라진다.

환자의 증상 ①

‘이가 시려요’라는 증상을 호소할 경우, ‘어떤 종류의 신경이 활성화되느냐’에 따라 그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증상에 대한 정확한 문진을 통해 염증의 진행 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원인에 알맞은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문진 과정을 통해 시린 증상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의 증상 ②

‘씹을 때 아파요’라고 증상을 호소한다면 치아 내부 조직 내 염증의 확산으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교합, 저작압의 문제인지 등을 감별해야 하며, 그에 따라 치료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치아 자체의 크랙과 그에 동반하는 염증이 원인인 경우도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가능성을 신중히 평가해야 한다.

환자의 증상 ③

‘특정한 자극을 주지 않아도 이가 아파요’라고 이야기한다면 그 원인은 다를 수 있다. 치아 내부에 있는 신경조직에서 통증이 발생한 것일 수 있지만 치아를 지지하는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통증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통증의 정도, 기간, 양상 등은 중요한 정보로서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에, 문진을 통해 정확히 파악되어야 한다.

진단을 위한 환자-치과의사의 협조

치아 및 치아지지조직의 통증은 다른 종류의 신경섬유가 관여하고 있다.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원은 다를 수 있으며 통증의 양상은 신경섬유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가 호소하는 불편감은 대부분 단순하고 포괄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기에 통증의 기원 및 원인에 대한 진단이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치과의사는 신중하고 철저한 문진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얻어야 한다. 치과에 내원한 환자들은 본인의 불편감에 대해 세밀히 관찰하고 이를 진단과정에서 충분히 설명하는 것이,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림 1 치아내 분포하는 신경섬유총
검은 화살표: 신경섬유 다발, 녹색 부위: 신경섬유

그림 2 치아 및 치아지지 조직 내 신경 분포

그림 3 치아 내 분포하는 신경섬유의 종류
myelinated A fiber(Aβ, Aδ), unmyelinated C fiber

출처: Hargreaves et al., Dental Pulp 2nd ed Quintessence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