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에 알맞은 치과 진료과 찾아가기 ]
소아청소년치과 김미선 교수


이가 아프고 잇몸이 욱신거려요,
어느 과로 가야 하나요?
증상에 알맞은 치과 진료과 찾아가기
치과는 일반의과와는 구별되는 특수성 때문에 독립된 과로 발전해왔다.
치과에서는 치아 치료만 하지 않는다. 치아 및 구강, 얼굴 전체 부위의 질병과 관련된 진단, 예방, 치료 등의 폭넓은 치료를 시행하여 국민구강건강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치과 진료과도 전문 분야에 따라 여러 개의 과로 나뉜다.
똑같이 이가 아픈 증상이라 해도 세부적인 문진, 검사를 통해 해당하는
과 진료를 보거나 여러 과와 협진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글_ 소아청소년치과 김미선 교수

이가 아프고 잇몸이 욱신거려요,
어느 과로 가야 하나요?
증상에 알맞은 치과 진료과 찾아가기
치과는 일반의과와는 구별되는 특수성 때문에 독립된 과로 발전해왔다.
치과에서는 치아 치료만 하지 않는다. 치아 및 구강, 얼굴 전체 부위의 질병과 관련된 진단, 예방, 치료 등의 폭넓은 치료를 시행하여 국민구강건강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치과 진료과도 전문 분야에 따라 여러 개의 과로 나뉜다. 똑같이 이가 아픈 증상이라 해도 세부적인 문진, 검사를 통해 해당하는과 진료를 보거나 여러 과와 협진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글_ 소아청소년치과 김미선 교수
소아청소년치과는 출생부터 청소년기까지 치아를 포함한 전반적인 턱, 얼굴 구강조직의 건강을 포괄적으로 관리한다. 치아의 성장과 발육, 교합 관리, 충치의 예방과 치료뿐 아니라 구강 내의 외과적 수술, 외상치료 등을 아동 행동 조절을 바탕으로 치료한다. 소아, 청소년 시기의 구강 건강 및 구강 관리 습관이 평생을 좌우하며, 유치가 건강히 잘 유지되어야 영구치도 건강하게 난다. 치아가 나면서부터 정기적인 검사와 함께 꾸준한 예방치료를 통해 다양한 치과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해야 한다.
유치와 영구치의 정상적인 탈락과 맹출을 관찰하며 치아와 턱뼈가 시기에 맞는 적절한 성장을 하도록 지속적인 정기관찰 및 평가를 한다. 치아에 충치가 생기기 전에 치면세마, 실란트, 불소 도포 등을 통해 충치를 예방한다. 충치가 생기면 아말감, 레진 등을 이용한 수복치료 또는 신경치료 후 기성금성관으로 씌워준다. 또 적절한 시기에 교정치료를 통해 치아나 턱뼈의 부정교합을 잡아준다. 과잉치, 점액종 등의 외과적 시술도 시행한다.
치과보존과는 충치 및 기타 다양한 이유로 손상된 치아를 되도록 발치하지 않고 자신의 치아를 보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치료한다.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한 치아 결손부를 심미적인 재료로 수복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수복치료를 시행한다. 충치가 심해져서 신경까지 세균이 파급된 경우 신경치료 후 치과용 재료로 씌어준다. 일반적인 신경치료의 실패 혹은 재발 시 미세치근단 수술, 치아 재식술 등의 치료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치간이개, 오래된 수복재료 교체, 치아미백치료 등의 심미적인 치료도 담당하고 있다.
구강악안면외과는 입(구강), 턱(악), 얼굴(안면) 부위와 관련된 여러 가지 질병, 외상 및 재건, 그리고 선천적 또는 후천적 기형에 대한 외과적 진단과 치료를 한다. 구체적으로는 단순 발치를 비롯하여 매복치 및 과잉치의 외과적 발치, 사랑니 발치, 보철 전 수술, 임플란트 식립, 감염증 치료와 같은 치과 소수술부터 턱교정수술(양악수술), 구순구개열(언청이) 수술, 사고로 인한 악안면 부위의 외상, 구강과 얼굴 및 목에 발생한 양성 종양과 암의 치료에 이르기까지 구강·악·안면의 다양한 질환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치과보철과는 치아가 결손된 환자들에게 인공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치아를 대체하여 줌으로써 구강, 턱관절 및 안면부의 기능 회복과 심미적인 개선을 목표로 한다. 충치나 잇몸질환으로 인한 치아 결손뿐 아니라 교통사고나 질병으로 턱 일부분이 제거되어 치아 및 주위 조직이 상실된 경우에 본래의 저작, 발음, 심미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재활치료도 보철치료에 포함된다.
치아를 모두 상실하여 남아있는 치아가 없을 때는 완전틀니, 치아가 몇 개 남아있으면 남은 치아에 고리를 걸어 쓰는 부분틀니, 틀니 착용이 어려운 경우 임플란트 자석틀니 등으로 상실된 치아를 수복해준다. 단일 치아나 국소적인 부위의 치아 손상 및 상실에 대하여 크라운, 브릿지, 임플란트 크라운 등의 수복방법도 있다. 그 외에 라미네이트 등의 심미치료, 마우스 가드 제작을 통한 스포츠 치의학 등 특수 치료 분야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