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 통증은 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퇴행성 후만증, 결핵성 척추염 등 다양한 척추질환에 의해 발생한다. 이들 질환은 허리 통증이 가장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고, 다리가 저리거나 무거워지는 느낌을 동반하기도 한다.
정형외과 김용찬 교수
전문진료분야
퇴행성 척추질환 및 재수술, 척추변형(후만증, 측만증), 척추 종양 및 감염, 골다공증
문의 02.440.7482
허리가 아프고 점차 구부러지는 척추 질환
최소 침습수술로 곧은 허리 회복
허리 통증은 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퇴행성 후만증, 결핵성 척추염 등 다양한 척추질환에 의해 발생한다. 이들 질환은 허리 통증이 가장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고, 다리가 저리거나 무거워지는 느낌을 동반하기도 한다.
정형외과 김용찬 교수
전문진료분야
퇴행성 척추질환 및 재수술, 척추변형(후만증, 측만증), 척추 종양 및 감염, 골다공증
문의 02.440.7482
허리 통증 + 저림 증상이 발바닥까지 내려가는 추간판탈출증
흔히 디스크라고 부르는 추간판은 각각의 척추뼈 사이에 있는 구조물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역할을 한다. 추간판이 돌출되어 신경을 누르면 통증이 발생하고 이를 추간판탈출증이라 한다.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대부분 평소 허리에 부담을 주는 습관,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이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를 유발하고, 퇴행한 추간판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면 추간판탈출증이 발생한다. 가장 흔한 증상은 허리 통증과 엉치부터 허벅지, 종아리, 발바닥까지 내려가는 다리 저림증상이다. 저림증상과 함께 감각이 둔해지는 느낌, 뜨거움 등 이상 감각을 호소하기도 한다.
허리 통증 + 걸을 때 다리 통증이 심해지는 척추관협착증
척추관협착증이란 척추 중앙의 뇌부터 팔다리까지 가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서 허리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주요 원인은 퇴행성 변성으로 척추관을 구성하는 구조물들이 두꺼워지고 사방이 좁아진 척추관이 신경몸통과 신경뿌리를 직접 눌러서 발생한다. 보통 엉덩이부터 종아리, 발목까지 넓은 범위의 감각소실과 저림 같은 감각 이상 증상이 생길 수 있다. 협착증이 심해질수록 통증 때문에 걷다가 쉬거나 쪼그려 앉고, 다시 걸을 때 다리가 터질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이를 파행증이라 하는데 협착 정도가 심할수록 보행 거리가 짧아진다.
허리 통증 + 걸을 때 다리가 무거워지는 척추전방전위증
척추전방전위증이란 척추뼈 윗부분이 아랫부분보다 앞으로 밀려 나온 상태를 말한다. 원인은 다양하며 척추 발육 부진이나 척추 연결고리 뼈의 골절, 척추 노화로 인한 인대와 근육의 퇴행, 갑작스러운 외상으로 인한 충격을 꼽을 수 있다. 걸을 때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이 동반된다. 오래 걸으면 다리가 저리고 무거워 지면서 때론 종아리가 터질 듯한 느낌이 올 수 있다.
허리 통증 + 식욕 부진, 미열, 피로감이 나타나는 결핵성 척추염
잘 알려지지 않은 척추 질환 중 하나인 결핵성 척추염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척추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대부분 폐 또는 임파절 등 다른 장기의 결핵으로부터 결핵균이 혈류를 통해 이동하여 발생한다. 전체 결핵 중 폐가 아닌 다른 장기에 발생하는 결핵은 10~15% 정도로 이 중 10% 정도가 골관절 결핵, 골관절 결핵의 50~60%가 척추결핵이다. 증상은 서서히 나타나는데 식욕 부진, 체중 감소, 미열·피로감 등 전신 증상을 보이다가 병변에 통증이 나타나고 통증과 근육의 긴장으로 척추 강직 소견이 나타난다. 심해지면 척추변형인 후만증이 유발되고, 농양이 형성될 수 있다. 심하면 하반신 마비가 오기도 한다.
입원 질병 1위는 추간판 질환
대부분 허리 통증 환자는 정상 방사선 소견을 보이면서 통증이 있는 환자다. 이 단계에서 가장 흔한 진단은 요추부 염좌(Sprain)이다. 몸을 움직이거나 허리를 구부릴 때나 펼 때 증상이 심해지는 특징이 있으나, 대개 약물 치료나 물리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로 수 일 이내에 증상이 경감되는 특징이 있다.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한 흔한 원인으로는 척추관협착증, 추간판탈출증(디스크 탈출증),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 등이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9년 ‘4대 입원 다빈도 상위 10위 질병 환자 수’ 중 1위가 54,443명으로 추간판 질환이다. 외래 진료를 받은 환자를 포함하면 2,063,806명에 이른다. 추간판탈출증이란 흔히 ‘허리디스크’라고 말하는 질환으로 돌출된 추간판이 신경을 눌러 허리 통증뿐만 아니라 이환된 신경근(Nerve root)의 자극에 의하여 그 신경근이 지배하는 피부 고유감각 영역(Dermatome)으로 대퇴 또는 좌골 신경을 통하여 통증이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통증의 속성은 예리하고 부위가 한정되어 있으며, 그 신경근이 지배하는 근육의 근력 약화나 근 위축, 심건 반사(Deep tendon reflex)의 소실 등이 동반될 수도 있다.
출혈량, 피부절개, 통증이 적은 내시경적 수술 시행
척추 질환의 수술적 치료 방법은 크게 감압술, 유합술 또는 인공 디스크 치환술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요추에서 인공 디스크 치환술은 운동성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으나, 장기간 관찰하였을 때 실패율이 높아 최근에는 주로 시행하지 않는다.
척추 질환 중 비교적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수술적 치료법에 대해서 소개하면, 탈출의 정도가 심하지 않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고주파 또는 레이저 치료 등으로 간단히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중등도 이상의 튀어나온 추간판의 수핵으로 인하여 적극적인 보존적인 치료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을 때는 이를 제거하는 수술인 관혈적(절개 및 현미경하) 수핵 제거술과 내시경적 수핵 제거술이 있다. 관혈적 수핵제거술은 신경을 누르는 탈출된 수핵을 제거하기 위해 절개를 가해서 근육을 박리하여 시행하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근래에는 내시경적 수핵 제거술이 작은 피부절개, 근육손상 최소화, 빠른 회복을 가능하게 하여 점차 각광받고 있다. 수술을 시행하는 데 있어 불가피한 침습(외과적인 절개, 내시경 삽입을 위한 천공 등) 요소를 최소화하여 침습과 연관된 부작용 또는 합병증을 최소화한다. 이런 수술은 수술 중에 발생하는 출혈량이 관혈적 수술보다 더 적으며 보다 작은 피부절개와 근육견인을 통하여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이런 통증의 감소를 통한 환자에 대한 진통제 사용의 감소, 조기 거동, 보다 짧은 입원 기간, 좀 더 빠른 업무 복귀 등의 장점이 있다.
출혈량, 피부절개, 통증이 적은 내시경적 수술 시행
척추 질환의 수술적 치료 방법은 크게 감압술, 유합술 또는 인공 디스크 치환술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요추에서 인공 디스크 치환술은 운동성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으나, 장기간 관찰하였을 때 실패율이 높아 최근에는 주로 시행하지 않는다.
척추 질환 중 비교적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수술적 치료법에 대해서 소개하면, 탈출의 정도가 심하지 않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고주파 또는 레이저 치료 등으로 간단히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중등도 이상의 튀어나온 추간판의 수핵으로 인하여 적극적인 보존적인 치료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을 때는 이를 제거하는 수술인 관혈적(절개 및 현미경하) 수핵 제거술과 내시경적 수핵 제거술이 있다. 관혈적 수핵제거술은 신경을 누르는 탈출된 수핵을 제거하기 위해 절개를 가해서 근육을 박리하여 시행하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근래에는 내시경적 수핵 제거술이 작은 피부절개, 근육손상 최소화, 빠른 회복을 가능하게 하여 점차 각광받고 있다. 수술을 시행하는 데 있어 불가피한 침습(외과적인 절개, 내시경 삽입을 위한 천공 등) 요소를 최소화하여 침습과 연관된 부작용 또는 합병증을 최소화한다. 이런 수술은 수술 중에 발생하는 출혈량이 관혈적 수술보다 더 적으며 보다 작은 피부절개와 근육견인을 통하여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이런 통증의 감소를 통한 환자에 대한 진통제 사용의 감소, 조기 거동, 보다 짧은 입원 기간, 좀 더 빠른 업무 복귀 등의 장점이 있다.
척추 질환 예방을 위해 꾸준한 운동으로 허리 근육 강화하기
기본적으로 허리를 구부리고 비틀게 되는 자세와 허리에 진동이 가해지는 모든 상황은 척추 질환을 일으키는 가장 나쁜 행동 및 상황이므로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예방 수칙이다. 예를 들어 앉아서 책을 보거나 컴퓨터 작업 등을 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오랜 시간 허리를 구부리게 되어 척추나 골반이 받는 부담이 커져 척추 질환뿐만 아니라 각종 근골격계 질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다리 꼬는 습관은 골반이나 척추 변형에 더 큰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앉아있는 자세에서 다리를 꼬지 않아야 하며, 앉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정 시간 지나면 일어나서 가볍게 허리를 펴고 스트레칭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겠다. 또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지하철보다 버스가 척추에 진동을 많이 주어 좋지 않다. 버스에 앉아서 가는 것은 더욱 진동이 클 수 있어 가급적 피하는 것이 또 하나의 예방 수칙이다.
최근 연구(The Spine journal, vol 19, may 2019, pages 846-852)에서 30분씩 주 3회 이상 평지를 허리를 펴고 걷는 운동을 하는 50세 이상 여성의 경우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개선시키면서 허리의 통증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강도로 꾸준히 운동하면 허리 건강과 척추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준다. 물건을 들 때는 몸에 붙여서 들도록 하고, 앉을 때는 엉덩이를 의자에 붙이고 고관절은 95° 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오래 서 있을 때는 한쪽 발을 낮은 상자 같은 곳에 올려놓아서 요추의 전만을 유지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수영, 규칙적인 보행 등 허리를 펴게 해주는 근육의 운동이 권장된다. 탁구, 테니스, 배드민턴, 스쿼시, 볼링 등 허리를 갑자기 비틀게 되는 운동은 삼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술 환자사례
10년 이상 된 후만 변형
장분절 유합술로 정상적인 척추 곡만 회복
환자는 74세 여자 환자로 평생 농사일을 하셨다. 수십 년 전부터 허리 통증이 있었으나 관리하지 않았으며, 10년 전부터 허리 굽는 증상이 서서히 악화되어 5분 이상의 보행이 어려워 병원을 찾았다. 그림 1, 2, 3을 보면 단순방사선사진(X-ray)와 환자 사진에서 상당히 심한 후만 변형이 확인된다. 이럴 때 장분절의 유합술을 시행하며 경우에 따라 절골술이 필요하기도 하다. 그림 4, 5, 6을 보면 수술 후 정상적인 척추 곡만을 회복하였으며 보행도 원활해진 증례이다.
추간판탈출증 치료가 늦어져 후만 변형을 동반한 환자
유합술로 허리 통증과 변형 교정
환자는 41세 남자 환자로 1년 전 허리 통증과 하지 방사통으로 추간판탈출증 진단을 받았지만,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측만 및 후만 변형을 보인 사례다. 그림 1, 2의 요추부 자기공명영상(MRI)에서 4-5번 추간판이 심하게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하는 소견이 보인다. 또한 그림 3, 4, 5의 단순방사선 사진(x-ray)와 환자 사진을 보았을 때 변형 동반이 확인된다. 좀 더 이른 치료를 하였다면 추간판 제거술을 할 수 있었겠지만, 변형을 동반하여 유합술을 시행할 수밖에 없었다. 유합술 후 통증뿐만 아니라 변형도 교정된 것이 그림 6, 7, 8의 단순방사선 사진(x-ray)과 환자 사진에서 확인된다.
정형외과 김용찬 교수
전문진료분야
퇴행성 척추질환 및 재수술, 척추변형(후만증, 측만증), 척추 종양 및 감염, 골다공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