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강동경희대병원 로고 129호로 바로가기

한방 주치의

밝은 세상을 선물하는 의사
안과 김태기 교수

전문진료분야

백내장, 각막, 콘텍트렌즈, 건성안, 전안부, 소아안과

눈 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때의 답답하고 두려운 심정은 다른 질환보다 정도가 더하다. 눈 건강은 시력과 직결되기 때문에, 앞을 못 보게 되는 최악의 상황을 떠올리기 쉽기 때문이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김태기 교수는 환자의 이런 심정을 누구보다 잘 헤아리는 의사다. 그래서 그는 질환을 치료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증상과 불편함을 최대한 자세히 설명한다. 환자의 막연한 두려움을 덜어주는 것, 그것이 그가 생각하는 치료의 첫 단계다.

눈 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때의 답답하고 두려운 심정은 다른 질환보다 정도가 더하다. 눈 건강은 시력과 직결되기 때문에, 앞을 못 보게 되는 최악의 상황을 떠올리기 쉽기 때문이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김태기 교수는 환자의 이런 심정을 누구보다 잘 헤아리는 의사다. 그래서 그는 질환을 치료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증상과 불편함을 최대한 자세히 설명한다. 환자의 막연한 두려움을 덜어주는 것, 그것이 그가 생각하는 치료의 첫 단계다.

빗물을 가득 머금은 구름이 낮게 깔린 초여름 날, 인터뷰를 위해 찾은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안과는 왠지 모를 긴장감을 안겨주었다. ‘각막이식’이라는 주제 때문일까, 굉장히 무거운 내용의 인터뷰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머릿속을 맴돌았다. 그러나 막상 김태기 교수를 만나 이야기를 들으니, 각막이식의 세계는 그렇게 두려워할 대상은 아님을 깨달았다. 안과 김태기 교수가 소개한 각막이식의 세계로 함께 들어가 보도록 하자.

각막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은 모든 환자들이 각막이식 대상

각막이란 우리가 사물을 볼 때 빛이 가장 먼저 통과하는 부분이다. 쉽게 말해서 창문 유리창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그래서 이런 각막이 질병이나 외상에 의해서 혼탁이 발생하거나 모양이 변형되는 경우에는 시력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렇게 손상된 각막을 기증받은 다른 사람의 깨끗한 각막으로 바꿔주는 수술을 각막이식이라고 한다.

“우선 각막이 영구적으로 손상을 받은 모든 환자들이 대상자가 될 수 있습니다. 각막의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바이러스나 세균감염 특히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같은 경우에도 각막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외상에 의해서도 각막 손상이 발생하며, 그 외에도 유전적인 요인이나 원추각막 같은 환자 내인적인 문제에 의해서도 각막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는 각막이식에도 종류가 있다고 설명을 이어갔는데, 각막의 어느 부분을 이식하느냐에 따라서 종류가 나뉜다고 했다.

“각막의 전체 층을 이식해 주는 방법을 전체층 각막이식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각막의 혼탁이 앞쪽 부분이나 뒤쪽 부분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막을 일부분만 이식하게 되는데, 이를 부분층 각막이식이라고 합니다. 그 외에도 그 각막 주변부-윤부는 각막상피세포 줄기세포가 있는 부분인데 이것이 결핍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막 윤부만 이식해 주기도 합니다.”

이식 환경과 수술법 모두 발전

어느 정도 각막 이식에 대한 개념이 잡히니, 각종 이식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오늘날 각막이식의 발전 현황은 어떤지 궁금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장기 이식에 대한 인식이 선진국을 따라가지 못하는데, 각막이식을 기다리는 환자들의 수요는 어떤 방법으로 해결하고 있을까?

“일단은 각막이식과 관련해서 여건 변화를 먼저 말씀드리면 우리나라는 여전히 그 대기자에 비해서 기증자가 많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하지만 요즘 같은 경우에는 미국 같은 기증자가 많은 나라에서 각막을 수입해서 쓸 수 있기 때문에 옛날처럼 오랜 시간 기다리지 않고 어느 정도 비용을 지불하면 환자분이 일주일 안에 수술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돼서 이전보다는 환경이 많이 나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수술적 발전을 보면 전통적으로는 각막의 전체층을 이식하는 전체층 각막이식만이 시행됐는데요, 요즘은 각막내피세포만 이식하는 각막내피세포 이식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수술은 기술적으로는 어려운 반면에 전체층 각막이식과 달리 난시 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위태한 상황에서 각막이식을 진행한 사례가 기억에 남아

이식된 각막이 수술 후 합병증이나 거부반응 없이 환자의 각막에 1년 동안 생착되는 성공률은 80~90%, 5년 성공률은 약 60~70% 정도로 비교적 높다고 할 수 있으나, 수술 전의 원인 질환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난다. 가장 기억에 남는 환자로 꼽은 유재황 님은 2018년 전체층 각막이식을 받은 후 3년째 시력을 잘 유지 중이다.

“평소에 헤르페스각막염을 앓으시면서 근처에 있는 병원에서 꾸준히 진료를 받으셨던 분이었는데, 불행히도 각막염이 반복되면서 각막혼탁과 각막이 얇아지는 증상이 발견되었습니다. 저희 병원에 오셨을 때는 각막이 매우 얇아서 위태한 상황으로 오셨습니다. 다행히 기증자가 나타나서 각막이식을 받으셨고, 각막이식 수술을 하기 전에 0.2 정도 보던 시력이 0.9~1.0 정도로 호전됐습니다. 이후 재발 없이 눈 건강을 잘 유지하고 계셔서 이 환자분이 각막이식한 환자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환자입니다.”

각막이식, 너무 두려워할 필요 없어요

설명을 들으니 각막이식이라는 수술이 처음에 생각했던 것만큼 위험하거나 큰 수술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각막이식이 필요하다는 말을 듣는 환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여전히 불안함을 느낄 것 같았다. 각막이식이라는 게 주변에서 흔히 듣는 수술도 아닐뿐더러, 눈은 특히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큰 신체 부위이기 때문이다. 그는 이처럼 불안해하는 환자들을 위해 수술 과정을 자세히 설명해 준다고 했다.

“흔히 각막이식이라고 하면 안구 전체를 빼낸 다음에 그 전체를 이식하는 걸로 생각하시는 분이 있는데, 각막이식은 그렇지 않고 까만 눈동자 앞부분만 이식해 주는 수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술 자체가 매우 위험하지는 않습니다. 수술 시간 자체도 1시간 이내로 걸리고, 대부분 전신마취로 하지만 국소마취로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각막과 같은 장기는 다른 장기와 달리 거부반응이 굉장히 적습니다. 그래서 면역억제제라든지 이런 약을 복용할 필요가 없고, 대부분은 안약으로 조절을 할 수가 있습니다. 입원하시면 보통은 한 3박 4일 정도 입원하시고 퇴원하시게 되는데, 그 이후에는 일주일에 한 번, 좀 안정되면 한 달에 한 번 이런 식으로 정기적으로 방문하시면서 경과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각막 분야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

김태기 교수는 다른 임상 분야와 겹치는 부분이 적은 고유한 영역이라는 점에 이끌려 안과를 선택하게 되었다고 한다. 의사로서 눈 질환을 치료하는 데 있어 약물치료나 수술적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각막 질환은 각막이식과 같은 강력한 치료 무기가 있기 때문에 더 매력적인 분야라고 했다. 그는 각막이식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가장 많이 내원하는 안구 건조증 환자들의 증상에 맞는 적절한 치료에 대한 고민을 계속하고 있다고 했다. 또한, 소아 환자의 근시 진행을 늦추기 위한 드림 렌즈에 대한 연구 등 각막 분야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앞으로 제가 중점을 두는 부분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기본적으로는 각막 문제로 저희 병원에 방문하시는 모든 환자분들이 질병에서 해방되게 하는 게 목적입니다. 그 외에도 각막 이식과 같은 경우에는 수술 방법을 더 다양화해서 ‘각막이식하면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이다’ 하는 인식이 심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게 제 소망입니다.”

MINI INTERVIEW

유재황 님은 15살에 왼쪽 눈에 혼탁함과 통증을 느껴 병원을 찾았고, 헤르페스각막염을 진단받았다. 치료와 재발을 반복하던 중, 각막천공 위험으로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안과를 추천받아 오게 되었다. 2017년 우선적으로 양막 이식을 시행한 이후, 2018년 기증 각막으로 전체층 각막이식을 시행하게 되었고, 이후 재발 없이 09~1.0의 시력을 유지하고 있다. 눈 건강에 의한 스트레스 때문에 눈이 흘러내리는 꿈까지 꾸곤 했다는 그는 이식 이후 생활의 안정감을 찾았다고 한다.

“제가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을 찾은 날, 늦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김태기 교수님이 추천서를 받고는 저를 기다려 주셨습니다. 바로 다음날 아침에 양막 이식을 통해 천공을 매워주는 수술을 잡아주셔서 정말 감사했어요. 각막이식 과정도 쉽지만은 않았는데, 기증자 부모님이 적출을 거부하셔서 취소된 경우가 있었어요. 그다음 한두 달 정도 있다가 다시 각막 기증자가 나타났고, 교수님이 바로 수술을 잡아주셔서 그 부분도 참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